1. 증감 연산자가 대입 연산자와 함께 사용될 때의 경우를 알아보는 예문
(1) 증감 연산자 -- 가 변수 뒤에 있는 경우
- 출력값
10
9
* 설명
(num1--)의 경우 증감 연산자가 변수 num의 뒤에 있기 때문에 증감 이전의 값 대입되고, 이후의 (num)은 위에서 증감이 이루어지지 않은 10에 증감이 이루어진 후의 값 9가 대입된다.
(2) 증감 연산자 -- 가 변수 앞에 있는 경우
- 출력값
9 // 증감 연산자가 변수 num의 앞에 있기 때문에 증감 이후의 값 대입
9 // 위에서 num1의 증감이 이미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값이 대입된다.
* 설명
(--num1)의 경우 증감 연산자가 변수 num의 앞에 있기 때문에 증감 이후의 값 9가 대입되고, 이후의 (num)은 위에서 증감이 이미 이루어졌기 때문에 변화한 num의 값 9가 그대로 대입된다.
(3) 증감 연산자 ++ 가 변수 뒤에 있는 경우
- 출력값
10
11
* 설명
(num1++)의 경우 증감 연산자가 변수 num의 뒤에 있기 때문에 증감 이전의 값 대입되고, 이후의 (num)은 위에서 증감이 이루어지지 않은 10에 증감이 이루어진 후의 값 11이 대입된다.
(4) 증감 연산자 ++ 가 변수 앞에 있는 경우
- 출력값
11
11
* 설명
(++num1)의 경우 증감 연산자가 변수 num의 앞에 있기 때문에 증감 이후의 값 11가 대입되고, 이후의 (num)은 위에서 증감이 이미 이루어졌기 때문에 변화한 num의 값 11이 그대로 대입된다.
'Java > Day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hile 반복문으로 살펴보는 중괄호와 세미콜론, 반복문 안 내용의 사용 (0) | 2021.10.29 |
---|---|
for 반복문으로 살펴보는 중괄호와 세미콜론, 반복문 안 내용의 사용 (0) | 2021.10.29 |
증감 연산자가 대입 연산자와 함께 사용될 때의 경우 (0) | 2021.10.29 |
증감 연산자 (0) | 2021.10.29 |
final (1) | 2021.10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