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

    [Java] 데이터 타입. 자료형에 따른 연산

    1. 데이터 타입. 자료형에 따른 연산 (1) 1 2 3 4 5 6 7 8 9 10 11 12 class DataType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hort num1 = 10; short num2 = 20; short result = num1 + num2; // ↑ short result = (short)(num1+num2) 아니면 // ↑ int result = num1+num2 라고 해준다. } }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- short는 2바이트 - 큰 자료형에서 작은 자료형으로 자동 형변환이 일어나지는 않는다. 그렇기 때문에 int보다 자료형이 작은 short형으로 자동 형변환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(short..

    [Java] switch case 구문

    1. switch case 구문 (1) 메뉴 입력받아 출력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import java.util.Scanner; class 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menu=0;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 System.out.println("Menu"); System.out.println("1.피자"); System.out.println("2.스파게티"); System.out.println("3.햄버거"); System.out.println("4.스프"); S..

    [Java] Prime number 소수 판별 프로그램 & 1과 100사이의 소수 출력하기

    1. 소수 Prime number . 소수판별 프로그램 소수 :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누어지는 1보다 큰 양의 정수 (1) 소수판별 프로그램. 임의의 숫자를 입력받아 소수인지 아닌지 판단하시오.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package PrimeNumber; import java.util.Scanner; public class PrimeNumberTest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 int num1=0, num2=0; System.out.println("소수 판별을 원하는 숫자를 입력하세요."); ..

    [Java] 자료형의 종류와 값의 표현법

    1. 자료형의 종류 (1) MSB : 최상위비트 most significant byte - 최상위 비트가 1이면 음수 - 최상위 비트가 0이면 양수 - 1바이트는 8비트 1 0 0 0 0 0 0 0 → -128 0 1 1 1 1 1 1 1 → 127 2. 바이트 자료형의 값의 표현법 (1) -128 ~ 127에 대해 n-1 n-1 ① -2 ~ 2 → 여기서 n은 비트이고 1바이트는 8비트이기 때문에 n=8 8-1 8-1 ② -2 ~ 2 7 7 ③ -2 ~ 2 → -128~127이 나오게 되는 과정 - 최상위 비트 자리는 음수, 양수를 결정하는 부호비트의 자리로 사용하기 때문에 n이 아닌 n-1이 된다. (2) 1의 보수를 취한다. 0을 1로, 1을 0으로 반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. 0 0 0 0 0 1 ..

    [Java] 진법 진수

    . 진법 진수 (1) 시작 전 진법에 대해 알아보기 23을 2진수, 8진수, 16진수로 구하라. - 2진법 : 10111(2) - 8진법 : 27(8) - 16진법 : 17(16) - 2진수를 끝에서부터 3자리씩 묶으면 8진수가 된다. ex) 10111(2) → 10 / 111 → 2진법에서의 111은 7, 2진법에서의 10은 2 → 합해서 27(8) - 2진수를 끝에서부터 4자리씩 묶으면 16진수가 된다. ex) 10111(2) → 1 / 0111 → 2진법에서의 0111은 111로 7, 2진법에서의 1은 1 → 합해서 17(16) (2) 10진수 2진수 8진수 16진수 1 1 1 1 2 10 2 2 3 11 3 3 4 100 4 4 5 101 5 5 6 110 6 6 7 111 7 7 8 1000 1..

    [Java] 난수를 이용한 숫자 맞추기 게임

    1. 난수를 이용한 숫자 맞추기 게임 1부터 100사이의 임의의 난수를 발생시킨다. 그리고 그 숫자를 맞추는 게임을 만드시오. (예) - 게임을 시작합니다. - 숫자를 입력하세요. (사용자에게 숫자를 입력 받는다) → 당신이 입력한 숫자보다 큽니다. (사용자에게 숫자를 입력 받는다) → 당신이 입력한 숫자보다 작습니다. (사용자에게 숫자를 입력 받는다) → 정답입니다. 당신은 x번만에 정답을 입력하셨습니다. -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.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package Random; import java.util.Scanner; import java.util.R..

    [Java] 난수

    난수 : 임의의 숫자 Scanner 클래스처럼 난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Random class를 사용해주어야 한다. * 예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ackage Random; import java.util.Random; public class RandomTest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Random rand = new Random(); int num = 0; num = rand.nextInt(100); System.out.println(num); } }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- 출력값 0부터 99까지의 난수가 생성되어 실행 시 num의 값이 랜덤으로 출력된다. (1) rand..

    [Java] 논리 NOT 연산자

    1. 논리 NOT 연산자 ( !=) (4) 에서 알아봤던 내용에 논리 not 연산자가 사용되었다. !A : !는 A가 참이면 거짓으로, A가 거짓이면 참으로 바꿔준다. boolean 관계 연산자 (1) 예문 1 1 2 3 4 5 6 7 8 9 package Not; public class NotTest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boolean result = !true; System.out.println(result); } }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- 출력값 false (2) 예문 2 1 2 3 4 5 6 7 8 9 package Not; public class NotTest2 { public static void main..

    [Java] continue 와 break 예문 & 논리 OR연산자, 논리 AND 연산자

    1. continue 와 break 를 사용한 예문 (1) break 사용 예문 for(i=1;true;i++) 반복문 설정하고 ' 1+2+3+ ... ' 순차적으로 더했을 때 값이 최초로 5000을 넘는 수를 break를 통해 구현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ackage ContinueAndBreak; public class ContinueAndBreakTest4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i=0, sum=0; for(i=1; true; i++) { sum+=i; if(sum>5000) { System.out.println(sum); break; } } } } Colored by Color Scri..

    [Java] continue 와 break

    1. continue 와 break 반복문 안에서 반복문의 흐름을 인위적으로 변경시킬 때 사용된다. 때문에 반복문의 밖에서 사용할 경우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. for반복문, while반복문, dowhile반복문 이 3가지 안에서 사용할 수 있다. - break는 반복문을 멈추고 continue는 반복문을 계속 실행한다. - continue보다 밑에 있는 구문은 실행되지 않는다. (1) 반복문for 에서 break 의 사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ackage ContinueAndBreak; public class ContinueAndBreakTest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i=0; for(i=0;..